반응형

모유수유 중 유방 통증, 열감, 붉어짐, 심한 경우 열까지 동반된다면 ‘유선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히 아이가 젖을 제대로 못 물거나, 유선이 막히는 상황이 반복되면 급성 유선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때 항생제 치료와 함께 아세트아미노펜을 병용하게 되는데요, 어떤 약을 얼마나 복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진주 지역에서 치료받을 경우 얼마나 비용이 드는지 정리해드립니다.
✅ 유선염 진통해열제,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가이드
항목 / 내용
| 1회 용량 | 500~1000mg |
| 1일 최대 용량 | 4000mg 이하 (예: 650mg × 6회까지) |
| 복용 간격 | 4~6시간 간격으로 반복 가능 |
| 복용 기간 | 항생제 치료 초기 2~3일 (열과 통증 지속 시 5일 이내) |
| 모유 수유 | 안전함 (소량만 모유로 이행되며 유아에 영향 없음) |
| 중단 기준 | 발열/통증 소실, 간 독성 의심 증상 발생(우상복부 통증, 황달 등) |
💊 항생제 종류별 병용 가능성
항생제 계열 / 대표 약물 / MRSA 커버 여부 / 아세트아미노펜 병용
| 페니실린계 | Dicloxacillin, Amoxicillin-Clavulanate | × | ✔ 가능 |
| 세팔로스포린계 | Cephalexin, Cefazolin | × | ✔ 가능 |
| 클린다마이신 | Clindamycin | ✔ | ✔ 가능 |
| 설파제 | TMP-SMX (박트림) | ✔ | ✔ 가능 (수유 시 주의) |
| 글리코펩타이드계 | Vancomycin | ✔ | ✔ 가능 (입원 시 주의) |
TIP: TMP-SMX는 수유 중 신생아 황달 유발 위험이 있으므로, 1개월 미만 유아에게는 피해야 합니다.
📊 유선염 항생제 선택 알고리즘
1. 유선염 진단
└ 경증 (열, 통증) → 경구 항생제 + 아세트아미노펜
└ 중증 (농양, 고열, 전신증상) → 정맥항생제 ± 배농술
2. MRSA 위험 평가
└ 위험 없음 → Dicloxacillin, Cephalexin
└ 위험 있음 or 알레르기 → Clindamycin, TMP-SMX
3. 보조요법
└ 수유 전 온찜질, 후 냉찜질
└ 수유 지속 or 젖 유축
└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 유선염 치료비 (2025년 기준)
🟢 경증 (외래 기준)
항목비용 (본인부담)
| 진찰료 | 5,000~8,000원 |
| 항생제 | 3,000~12,000원 |
| 아세트아미노펜 | 1,000~3,000원 |
| 유방 초음파 (선택) | 15,000~40,000원 |
| 총합 (초음파 없음) | 9,000~23,000원 |
| 총합 (초음파 포함) | 24,000~60,000원 |
🔴 중증 (입원 or 농양 동반 시)
항목비용 (본인부담)
| 입원료 (1~3일) | 50,000~120,000원/일 |
| 정맥 항생제 | 30,000~80,000원/일 |
| 초음파 + 배농술 | 50,000~150,000원 |
| 총 입원 치료비 | 약 30~60만원 예상 |
유방 초음파나 농양 의심 시 배농술까지 가능한 외과·유방외과 진료 병원을 선택하세요.
🎀 마무리 정리
| 진통제 | 아세트아미노펜: 안전하나 용량 준수 필수 |
| 항생제 | 페니실린계 1차, MRSA 의심 시 클린다마이신 |
| 비용 | 경증은 1~3만 원, 초음파 포함 시 최대 6만 원 |
| 중증 치료 | 입원+배농 필요 시 30~60만 원 예상 |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혈액이 끈적끈적해졌다는 건 무슨 뜻일까? (0) | 2025.05.19 |
|---|---|
| 유선염 한약치료 알고리즘 (2025) (0) | 2025.05.19 |
| ✅ 유선염, 한의원에서는 어떻게 침치료할까? (0) | 2025.05.19 |
| 치료는 왜 ‘전체’를 봐야 하는가? 근육, 혈행, 자율신경까지 아우르는 통합 치료 이론 (0) | 2025.05.19 |
| 😵 피로한데, 그냥 자면 나을까? (신경전달물질 부족으로 인한 피로 회복 가이드)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