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한약 먹으면서 꼭 확인해야 할 혈액검사 지표들 🩸

MANYFAST 2025. 5. 27. 02:08
반응형

 

한약은 천연 성분 기반의 복합제이나, 그 효능과 대사 과정에서의 생리적 반응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습니다.
특히 간, 신장, 전해질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처방을 사용할 경우, 약효 판별 및 부작용 예방을 위한 객관적 지표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본 글에서는 한약 복용 중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할 혈액검사 항목 7가지와, 그 해석 기준, 평가 시점, 주의사항까지 포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혈액검사가 필요한 이유

 

한약은 체내 흡수 후 주로 간에서 대사, 신장을 통한 배설, 전신 면역 및 대사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복합약물입니다.
따라서, 일정 이상 복용 기간이 필요한 방제나 간·신장 대사 관련 약재를 사용할 경우,
객관적 수치를 통한 안전성 모니터링 및 약효 판별이 필요합니다.

 

 

🧪 주요 혈액검사 항목 7가지 및 해석

 

AST (GOT) / ALT (GPT)

  • 의의: 간세포 손상의 민감한 지표
  • 정상범위: 0~40 U/L
  • 해석 포인트:
    • 한약 복용 전·후 변화 폭으로 간세포 안정 여부 확인
    • ALT가 AST보다 높다면 간세포 내 염증 가능성 우선 고려
    • 특히 시호, 황금, 감초 등 간 대사와 연관된 약재 포함 시 정기적 모니터링 권장

📌 2주 간격 추적 검사로 ALT 하강 경향 확인 시, 약효 기전 확인 가능

 

γ-GTP / ALP

  • 의의: 담도계 기능 이상 또는 지질 대사 이상 확인
  • 정상범위:
    • γ-GTP: 남성 < 60 U/L, 여성 < 40 U/L
    • ALP: 40~130 U/L
  • 특징:
    • 담즙정체, 지방간, 음주성 간질환 등에 민감
    • 시호·용담초 기반 방제 복용 시 개선 기대치 평가 가능

 

총 빌리루빈 (T-Bil)

  • 의의: 간의 담즙 배출 능력, 간외 담도 폐쇄 여부 간접 평가
  • 정상범위: 0.2~1.2 mg/dL
  • 활용 시점:
    • 황달 소견이 동반되는 만성 간질환 환자
    • 시호청간탕, 용담사간탕 등 청열해독 방제 사용 시

 

CRP / ESR

  • 의의: 전신 염증 상태 및 급성기 반응물 평가
  • 정상범위:
    • CRP: 0~0.3 mg/dL
    • ESR: 남성 < 20 mm/hr, 여성 < 30 mm/hr
  • 의미:
    • 항염 목적 방제 사용 시(예: 시호가용골모려탕, 용담사간탕)
    • CRP 감소는 단기 염증 완화 지표, ESR은 중장기적 반응 지표

 

혈청 칼륨 (K⁺)

  • 의의: 감초에 의한 저칼륨혈증 예방 및 전해질 균형 확인
  • 정상범위: 3.5~5.0 mmol/L
  • 임상 포인트:
    • 감초 포함 방제(소시호탕, 보중익기탕 등) 장기 복용 시
    • 저칼륨증 증상(무기력, 심계항진, 근육경련) 동반 시 즉시 측정

 

혈청 크레아티닌 (Cr)

  • 의의: 신장 사구체 여과 기능(GFR) 간접 평가
  • 정상범위:
    • 남성 < 1.3 mg/dL
    • 여성 < 1.1 mg/dL
  • 필요성:
    • 복령, 택사 등 이수약제 사용 시 신기능 저하에 따른 부작용 예방
    • 특히 고령자, 당뇨병력자 복용 시 선제적 검사 필요

 

CBC (백혈구, 호중구 등)

  • 의의: 면역반응 이상 또는 약물 유발 알레르기 반응 감별
  • 활용 포인트:
    • 면역 조절 방제 복용 시 (보중익기탕, 십전대보탕 등)
    • 발열, 두드러기, 피부 트러블 발생 시 약물 이상반응 감별용

 

 

📆 검사 시점 및 모니터링 전략

복약 전 기준값 확보, 기저 간·신장 기능 확인
복약 2주 후 약효 반응 및 이상반응 조기 포착
4~6주차 이후 장기 복용 시 주기적 안전성 확보
증상 발생 시 부종, 권태감, 발진 등 비정상 증상 시 즉시 평가

 

 

 

🧾 요약 정리

  목적
AST / ALT 간세포 염증 여부 및 복약 반응 확인
γ-GTP / ALP 담도계 정체 또는 지방간 반응 평가
빌리루빈 담즙 흐름 및 간의 배출 기능 확인
CRP / ESR 염증성 질환 대응 효과 모니터링
칼륨 (K⁺) 감초 유발 전해질 이상 예방
크레아티닌 신장 배설 기능 점검
CBC 알레르기 또는 이상면역 반응 확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