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통증까지 유발하는 숨은 연결고리
고관절이 뻣뻣하거나 걷기에서 다리를 뒤로 뻗을 때 불편함을 느낀 적 있으신가요?
혹은 한쪽 허리가 자주 아프고 골반이 틀어진 느낌이 든다면, 생각보다 흔히 간과되는 문제 중 하나인 **‘내전근 단축’**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내전근이란?
‘내전근(adductor muscle)’은 대퇴(허벅지)를 안쪽으로 모으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들로, 주로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됩니다.
박근 (Gracilis) | 무릎까지 내려가는 가늘고 긴 근육, 대퇴 내전·무릎 굴곡 |
장/단내전근 | 골반에서 대퇴 내측으로 연결, 내전 중심 |
대내전근 | 가장 깊고 큰 내전근, 고관절 신전·회전까지 관여 |
이들 대부분은 **골반(치골, 궁둥지)**에서 시작해 대퇴골 안쪽 및 뒤쪽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 내전근 단축이 골반 신전을 제한하는 이유
1. 신체 정렬에 미치는 영향
- 내전근은 단순히 다리를 모으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 골반을 안정화시키고, 걷기나 달리기에서 고관절 움직임의 정밀 조정자로 작용하죠.
- 이 근육들이 단축되면 고관절은 다음과 같이 비정상적인 움직임 제한을 받게 됩니다.
2. 고관절 신전 제한의 직접 기전
단축 영향결과
내전근 단축으로 대퇴가 뒤로 잘 안 빠짐 | 고관절 신전 제한 |
대내전근이 후방 섬유로 관절 뒤를 잡아당김 | 관절 후방 긴장 유발 |
골반이 전방으로 당겨짐 | 골반 전방경사 발생 → 고관절이 ‘영역 부족’ |
즉, **다리를 뒤로 뻗는 움직임(신전)**이 필요할 때, 내전근이 고무줄처럼 잡아당겨 제한하게 되는 겁니다.
🧠 기능적 결과: 허리 통증까지 이어지는 연결고리
❌ 내전근 단축 → 골반 전방경사 → 요추 과신전
- 고관절이 뒤로 안 빠지니 요추가 보상적으로 과하게 젖혀짐
- 요통, 디스크 압박, 척추 기립근의 만성 긴장이 뒤따름
❌ 양측 불균형 → 골반 회전 or 측방 경사
- 한쪽 내전근만 단축되면, 골반은 틀어지고 척추측만 혹은 좌우 비대칭 유발
🧩 보상 패턴 요약
제한 부위보상 부위문제 결과
고관절 신전 | 요추 과신전 | 허리통증, 근육 피로 |
골반 정렬 제한 | 반대 골반 상승, 척추 회전 | 요추 불균형, 골반 통증 |
🔧 평가 및 개선 전략
✅ 자가평가
- Thomas Test: 장요근·내전근 단축 확인
- Abduction ROM 검사: 다리를 벌리는 각도 확인
- 골반 정렬 관찰: 좌우 높이 차이, 앞뒤 경사 확인
✅ 교정 방향
- 내전근 스트레칭 (Wall Adductor Stretch, Butterfly Stretch 등)
- 장요근 및 둔근 강화: 고관절 안정화
- 도수치료/근막이완: 내전근 깊은 층 이완
- 침 치료: SP10, LV10, GB29 등 내전근 기시/정지점 중심
📝 마무리 요약
🔍 내전근 단축은 단순한 유연성 문제를 넘어, 골반의 정렬과 고관절 움직임을 제한하고, 궁극적으로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전신 정렬, 움직임의 질, 허리 건강을 지키는 데 필수입니다.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몸이 무겁고, 찬기운에 아프고, 소화도 안 된다면?👉 오적산(五積散)의 현대적 해석과 복용 가이드 (0) | 2025.05.15 |
---|---|
🦵계단 오를 때 무릎이 아프다면? (0) | 2025.05.15 |
💉 약침 유통 가격, 실제 얼마일까? (0) | 2025.05.15 |
📄 약침 사업계획서 템플릿 (1) | 2025.05.15 |
💉 약침 GMP 생산,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