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DIAAS란? PDCAAS 비교

MANYFAST 2025. 8. 4. 11:18
반응형

 

DIAAS는 Digestible Indispensable Amino Acid Score의 약자로,
**"소화 가능한 필수 아미노산 점수"**라는 뜻입니다.

PDCAAS 이후, 2013년 FAO(국제식량농업기구)가 새로운 기준으로 채택한 단백질 평가법이에요.
왜 필요했을까요? 바로 PDCAAS의 한계 때문입니다.

 

 

📉 PDCAAS의 문제점 간단 요약

  한계
점수 상한 1.0 이상 표현 불가 (더 우수한 단백질도 동점 처리)
소화율 기준 총단백질 소화율만 반영 (아미노산별 소화율 무시)
기준 인구 2~5세 유아 기준 (성인과 차이 존재)
아미노산 손실 반영 소장 소화까지만 계산, 실제 흡수율 반영 미흡
 

👉 이걸 보완하기 위해 나온 지표가 바로 DIAAS입니다.

 

 

💡 DIAAS의 평가 방식은?

  1. 아미노산별로 개별 소화율 측정
    → 각 필수 아미노산마다 실제 소장에서 소화되는 양을 따로 계산
  2. 소장에서 흡수된 양 기준으로 점수 부여
    → 단백질이 실제로 얼마나 체내에 쓰일 수 있는지를 정밀하게 반영
  3. 점수 제한 없음
    → PDCAAS는 최대 1.0이지만, DIAAS는 1.0을 초과할 수 있음
    예: 유청단백 WPI는 DIAAS 1.13

 

 

🏆 DIAAS 점수 예시

  diaas 등급
WPI (유청분리단백) 1.13 Excellent
달걀 1.09 Excellent
분리대두단백 0.90 Good
완두콩 단백 0.82 Good
귀리 0.54 Low
밀 단백 0.45 Low
 

🔎 기준점:

  • 1.00 이상: Excellent quality protein
  • 0.75~0.99: Good quality protein
  • 0.75 미만: Low quality protein

 

🎯 PDCAAS vs DIAAS 차이 요약

  PDCAAS DIAAS
기준연령 2~5세 각 연령군별 가능 (특히 청소년, 성인도 포함)
소화율 반영 총단백질 기준 아미노산별 실제 소장 흡수율 기준
점수 범위 최대 1.0 1.0 초과 가능
영양학적 정확성 낮음 높음 (현대 기준에 부합)
 

👉 DIAAS는 PDCAAS보다 더 현실적이고 정밀한 단백질 품질 평가 지표입니다.

 

 

💪 DIAAS 실전 활용 팁

1. 보충제 구매 시 DIAAS를 기준으로 선택

  • WPI, WPH → DIAAS 1.10 이상으로 최고 등급
  • 식물성 단백질 제품은 혼합 단백질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ex. 완두 + 현미)

2. 영유아, 노인, 수술 후 회복기엔 ‘Excellent 단백질’ 우선

  • 흡수율과 활용도가 중요한 시기에는 DIAAS 1.0 이상 단백질 식품을 추천합니다.

3. 식물성 위주 식단이라면 ‘단백질 조합’이 핵심

  • 예: 귀리 + 콩, 땅콩 + 밀 → 서로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완하여 DIAAS 향상 가능
  • 식물성 단백질의 DIAAS는 낮지만, 조합하면 충분히 보완 가능합니다.

 

 

🧠 흔한 질문들

❓ “DIAAS 수치 높은 게 무조건 좋은 단백질인가요?”

맞습니다.
DIAAS는 ‘필수 아미노산 조성 + 실제 흡수율’까지 고려하므로,
단백질의 질을 판단하는 데 있어 가장 정밀한 기준이에요.
단백질 함량이 많아도 DIAAS가 낮으면 효율이 떨어집니다.

 

❓ “DIAAS는 제품 라벨에 왜 잘 안 보이나요?”

아직은 표기 의무화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프리미엄 보충제나 스포츠 뉴트리션 브랜드
DIAAS 수치를 강조하는 추세입니다.

 

 

🔚 정리하며

  • DIAAS는 PDCAAS를 보완한 새로운 단백질 평가 지표
  • 아미노산별 실제 소화흡수율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더 정밀
  • WPI, 달걀, 우유는 DIAAS 기준으로도 최고 수준
  • 식물성 단백질은 혼합 조합으로 DIAAS 보완 가능
  • 고단백 식단이나 보충제를 고를 때 DIAAS는 믿을 만한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