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의보감은 1600년대까지의 동아시아 의학 지식과 건강 관리법을 정리한 서적이다. 이로부터 400년 가까이 되는 시간이 흐르며 기술은 발전했고, 인간의 삶의 방식은 완전히 변화했다. 의, 식, 주, 직업을 비롯한 모든 것이 변화했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것들이 사라지고 새로운 것들이 등장하였으나, 아직까지는 동의보감에 등장하는 변증이라는 진단방법과 치료방법인 변증, 침, 한약, 도인법 및 양생법이 개인의 건강을 이롭게 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카테고리에서는 동의보감의 집필배경인 치료보다는 예방을 중시하고, 국민이 스스로 쉽게 치료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글을 작성할 것이다. 400년이라는 시간간극이 만들어낸 차이를 최대한 좁혀 현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내용을 전달하고자 한다.
첫번째 글은 동의보감의 목차인 총목에서 시작된다.
내경 / 외형 : 인체의 내부와 외부를 바라보는 관점
내경편
1신형(身形) 정(精) 기(氣) 신(神)2혈(血) 몽(夢) 성음(聲音) 언어(言語) 진액(津液) 담음(痰飮)3오장육부(五臟六腑) 간장(肝臟) 심장(心臟) 비장(脾臟) 폐장(肺臟)4신장(腎臟) 담부(膽腑) 위부(胃腑) 소장부(小腸腑) 대장부(大腸腑)5방광부(膀胱腑) 삼초부(三焦腑) 포(胞) 충(蟲)6소변(小便) 대변(大便)외형편
1두(頭) 면(面) 안(眼)2이(耳) 비(鼻) 구설(口舌) 아치(牙齒) 인후(咽喉) 경항(頸項) 배(背)3흉(胸) 유(乳) 복(腹) 제(臍) 요(腰) 협(脇) 피(皮) 육(肉) 맥(脉) 근(筋) 골(骨)4수(手) 족(足) 모발(毛髮) 전음(前陰) 후음(後陰)의료행위인 "진단 - (치료계획) - 치료 - 예방"의 process를 이해하기에 앞서,
이 모든 과정이 이루어지는 인체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할까?를 다루는 파트이다.
잡병 : 병을 바라보는 관점
1천지운기(天地運氣) 심병(審病) 변증(辨證) 진맥(診脉) 용약(用藥) 토(吐) 한(汗) 하(下)2풍(風) 한상(寒上)3한하(寒下) 서(暑) 습(濕) 조(燥) 화(火)4내상(內傷) 허로(虛勞)5곽란(霍亂) 구토(嘔吐) 해수(咳嗽)6적취(積聚) 부종(浮腫) 창만(脹滿) 소갈(消渴) 황달(黃疸)7해학(痎瘧) 온역(溫疫) 사수(邪祟) 옹저상(癰疽上)8옹저하(癰疽下) 제창(諸瘡)9제상(諸傷) 해독(解毒) 구급(救急) 괴질(怪疾) 잡방(雜方)10 부인(婦人) 11 소아(小兒) 병이란 인체가 생리적인 상태에서 벗어나 병리적인 상태가 된 것이다.
해당 저서가 출판된(1610) 시기는 현재보다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온도, 습도, 바람)은 지금보다 더 컸을 것을 것이기에 풍, 한, 서, 습, 조, 화 등의 기후와 관련된 내용이 다루어진다. 내상, 허로, 곽란, 구토, 해수, 적취, 부종, 창만, 소갈, 황달의 내용이 이어지고, 이후 해학, 온역, 사수, 옹저, 제창, 제상, 해독, 구급, 괴질, 잡방의 내용이 이어진다. 부인, 소아는 따로 분류되어 다루어진다.
탕액 : 한약(화학적 치료)
1탕액서례(湯液序例) 수부(水部) 토부(土部) 곡부(穀部) 인부(人部) 금부(禽部) 수부(獸部)2어부(魚部) 충부(蟲部) 과부(果部) 채부(菜部) 초부상(草部上)3초부하(草部下) 목부(木部) 옥부(玉部) 석부(石部) 금부(金部)침구
1 침구(鍼灸) 마지막으로 침구, 침치료와 관련된 내용이다.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精) 동의보감 (0) 2023.07.10 동의보감 독해 개요 (0) 2023.07.07 노화 동의보감 (0) 2023.07.05 동의보감 집례 및 신형장부도 (0) 2023.05.03 동의보감 서문 (0) 202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