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muscle)은 발등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주요 근육이에요. 이 근육의 **신경이 근육에 붙는 부위(=motor point)**를 정확히 찾아 주사를 놓는다면 치료 효과는 확연히 좋아집니다.
📌 1. 전경골근 해부학 요약
🧠 지배 신경 | 심비골신경 (Deep peroneal/fibular nerve) |
📍 신경 진입 위치 | 근복부 상부 1/3 지점, 비골(fibula) 쪽에서 근육 내로 진입 |
🎯 타겟 부위 | 전경골근의 외측 1/3, 경골과 비골 사이 |
💡 기억 포인트: 전경골근은 정강이뼈 바로 옆이 아닌, 비골 쪽 외측에서 진입하는 신경을 기준으로 포인트 설정
🔍 2. 도구 없이 주사 위치 찾기
- 무릎 아래로 손가락 2~3마디 정도 내려간 위치에서
- 발을 들게 해서 전경골근의 수축 확인
- 수축된 근육의 외측 1/3 지점에서
- 경골(tibia)과 비골(fibula) 사이의 연부조직으로 주사
✅ 이 부위가 심비골신경이 전경골근으로 들어가는 motor entry point에 해당해요.
🧠 3. 초음파로 찾는 방법
- 프로브 위치: 하퇴 상 1/3 부위, 정면(horizontal)
- 기준 구조: 중앙에 정강뼈(tibia), 그 외측에 비골(fibula)
- 관찰 대상: 뼈 사이 앞쪽의 두껍고 타원형 근육 = 전경골근
- 근육 외측 깊숙한 곳에서 심비골신경이 작은 hypo-echoic 구조로 진입하는 모습 확인 가능
🎯 이 신경 진입 지점이 식염수주사, 약침, 도침의 정확한 타겟 포인트!
💉 4. 실제 주사 방법 요약
🔀 주사 방향 | 피부에 대해 30~45도, 비골 방향으로 진입 |
📏 깊이 | 평균 1~1.5cm (체형 따라 조정) |
💦 주입량 | 소량 식염수 또는 lidocaine 혼합 가능 |
⚡ 반응 확인 | 국소 twitch 반응 확인 시 적중 가능성 높음 |
⚠️ 주의: 전경골근 뒤쪽엔 **전경골동맥(Anterior tibial artery)**이 있으므로 깊이 조절 필요. 초음파 가이드 권장!
❗ 주의사항 & 임상 팁
- 혈관 손상 주의: 너무 깊이 들어가면 혈관 손상 가능성 있음
- 신경접촉 유의: 신경 자체를 찌르지 않도록 경계
- 근막 유착 해소 목적이면, 근막층(fascial plane)을 타겟으로 해도 OK
- **족부 증상(예: 족저근막염, 전족부 저림)**이 있을 때 전경골근 유착 여부도 고려해볼 것
✅ 최종 정리 요약
- 전경골근의 신경 진입점은 근육 외측 1/3, 상부 1/3 지점
- 심비골신경이 들어오는 부위 타겟
- 초음파 가이드 시 정확도 향상
- 치료 목적에 따라 motor point, 근막층, 건근접합부 중 하나를 선택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y Needling 부위별 지도표 (2) | 2025.06.20 |
---|---|
💥 Trigger Point Therapy란? (0) | 2025.06.20 |
부위별 증상 & PNI 적용 신경 정리표 (2) | 2025.06.19 |
PNI 치료란? Perineural Injection (0) | 2025.06.19 |
식염수 주사 포인트 선정 원칙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