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신경 포착 증후군과 해부학 (상완)

MANYFAST 2025. 6. 27. 09:31

 

우리 몸의 말초 신경은 뼈, 근육, 인대, 근막 사이를 지나면서 ‘좁은 길목’을 통과합니다. 이 과정에서 신경이 눌리거나 끼이면, 통증, 저림, 감각 저하, 운동 장애가 발생합니다. 바로 이것이 **신경 포착 증후군(Nerve Entrapment Syndrome)**이에요.

전통적으로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를 우선 시행하지만, 최근엔 **초음파 유도 주사(hydrodissection)**가 빠르고 안전한 치료법으로 각광받고 있죠! 💉

 

 

📌 신경 포착의 대표 증상

  부위 연관신경
엄지~중지 저림, 쥐는 힘 약화 팔꿈치 회내근 부위 정중신경
약지, 새끼손가락 저림 팔꿈치 뒤 or 손목 안쪽 척골신경
손등 저림, 손가락 펴기 어려움 전완 배측 요골신경 (후지간신경 포함)
어깨~팔 외측 찌릿함 어깨 위쪽 (소원형근 부위) 상완신경총 or 액와신경
 

 

 

💡 신경 포착 증후군의 핵심 주사 기법 (해부학 기반)

아래는 가장 흔히 문제되는 신경 포착 부위별 해부학 위치와 주사법입니다. 초음파 사용이 기본입니다!

 

1️⃣ 정중신경 포착 – 회내근 사이 (Pronator syndrome)

  • 부위: 팔꿈치 앞쪽, 회내근 두 갈래 사이
  • 초음파 포인트:
    • 팔꿈치 주름 아래 약 3~4cm 내측
    • 요골 동맥 안쪽, 정중신경이 hyperechoic 타원형으로 보임
  • 주사법: 바늘을 회내근 사이 공간에 진입하여 천천히 주입
  • : 신경 주위에 ‘도넛 모양’으로 용액이 퍼지면 성공!

 

 

2️⃣ 척골신경 포착 – 큐비탈터널(Cubital tunnel) & 가이욘관(Guyon’s canal)

💉 A. 큐비탈터널 (팔꿈치 뒤)

  • 부위: 상완골 내측상과와 척골 사이 고랑
  • 초음파 포인트:
    • 팔꿈치 내측굴곡 시, 척골신경이 피부 가까이에 있음
  • 주사법:
    • 3~5cc 생리식염수 + 덱사메타손
    • 신경 주위 근막층을 따라 주입
  • 주의: 척골동맥과 구분 필요

💉 B. Guyon’s canal (손목)

  • 부위: 새끼손가락 쪽 손목 터널
  • 초음파 포인트:
    • 척골동맥 옆에서 함께 보이는 척골신경
  • 주사법:
    • 1~3cc 국소마취제 혼합액
    • 손목 내측으로 접근해 천천히 주입

 

 

 

3️⃣ 요골신경 포착 – 후지간신경(PIN syndrome)

  • 부위: 팔꿈치 아래 외측, 회외근(supinator) 통과 부위
  • 초음파 포인트:
    • 상완요골근과 회외근 사이, 신경이 얇게 주행
  • 주사법:
    • 5~7cc 생리식염수 + 리도카인
    • 근육 사이 층을 따라 슬라이딩 하듯 주입
  • : 손가락 폄 기능 저하가 있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부위!

 

 

 

🧭 주사 가이드 꿀팁

✅ 반드시 초음파로 신경과 혈관 구분
바늘은 신경 옆에서 진입, 직접 찌르지 않도록
✅ 주입 시 신경이 위로 뜨는 영상을 확인
✅ 주사 직후 통증/저림 악화 시 즉시 중단
✅ 시술 후 24~48시간 내 통증 감소 여부 체크

 

 

 

🧠 Q&A – 자주 묻는 질문

Q. 신경 차단술과 Hydrodissection의 차이점은?
👉 차단술은 일시적인 통증 완화(마취제 목적),
👉 Hydrodissection은 신경 주위 유착을 풀고 공간을 확보하는 구조적 치료!

 

Q. 스테로이드는 꼭 넣어야 하나요?
👉 초기 염증성 병변이면 소량 혼합이 효과적
👉 반복 사용은 제한 필요

 

 

📚 요약 정리

  위치 부위 용량
정중신경 회내근 사이 전완 전면, 팔꿈치 아래 5~10cc
척골신경 큐비탈터널 팔꿈치 후내측 3~5cc
척골신경 Guyon’s canal 손목 내측 1~3cc
요골신경 PIN 전완 외측 5~7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