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NMES 근육강화 실제 임상 적용법 💪
MANYFAST
2025. 5. 21. 21:03
NMES(신경근 전기자극)는 수의적 운동이 어렵거나, 근육이 약해진 상태에서 근수축을 유도하여 근위축을 막고 근력 향상을 돕는 대표적인 전기치료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전극을 붙이고 전기만 흐르게 한다고 효과가 나는 건 아니죠!
💡 정확한 적용 위치, 주파수, 세기, 적용 시기와 운동 병행이 핵심입니다.
✅ NMES가 효과적인 환자군
- 수술 후 근위축이 빠르게 진행되는 환자 (무릎, 어깨 수술 등)
- 중추신경계 손상 후 수의적 운동이 어려운 경우 (뇌졸중, 척수손상)
- 오랜 고정, 부동 상태로 인해 근력 저하된 환자
- 정상신경 전달은 되나 근육 사용이 저하된 고령자
⚙️ NMES의 작동 원리 간단 요약
- 피부 위 전극을 통해 전류를 흘려보냄
- 운동신경을 직접 자극 → 근육 수축 유도
- 수의적으로 움직이지 않아도 근육이 ‘운동한 효과’ 발생
- 속근(fast-twitch) 섬유를 우선 자극 → 평소 사용되지 않던 근섬유 동원
📌 임상 적용법 Step-by-Step
🧩 1. 근육 선정 및 전극 부착
근육명전극 위치 (예시)
대퇴사두근 | Vastus medialis + rectus femoris |
햄스트링 | Biceps femoris + semitendinosus |
전경골근 | Tibialis anterior 근복부 |
상완이두근 | 중앙 복부 + 힘줄부 |
삼각근 | 중간 삼각근부 + 견봉 아래 |
- 근복부 + 운동점 중심으로 자극
- 전극은 평행 또는 대각선 배열 권장
- 피부는 청결하고 땀이 없도록 정리 후 부착
⚡ 2. 자극 세팅 조건
항목 / 일반 설정값
주파수 (Hz) | 35~50Hz (근수축 유도에 적절) |
펄스 폭 (μs) | 200~400μs |
온타임(On time) | 5~10초 (근육 수축 유지 시간) |
오프타임(Off time) | 15~30초 (피로 방지 휴식 시간) |
Ramp up/down | 1~2초 (자연스러운 수축 유도) |
총 치료 시간 | 15~30분 (근육당 기준) |
💡 수축 유지 시간 > 휴식 시간이 되면 피로 누적 주의! 처음엔 비수의적 수축만 시도, 이후 자발적 수축 병행 훈련
🏃 3. 병행 운동이 핵심!
- NMES 도중 환자에게 함께 힘을 주도록 유도 → 운동학습 촉진
- 자발적 수축이 가능한 경우 **"전기 자극에 맞춰 함께 수축"**하게 지도
- 재활기기(예: 슬링, 발목 교정기 등)와 함께 쓰면 기능적 패턴 학습에 좋음
📅 4. 적용 빈도와 주기
- 주 3~5회, 한 근육당 15~30분
- 2주 이상부터 효과 나타남, 4~6주 이상 반복 시 지속적 개선 가능
- 급성기에는 매일 사용 가능 (피로 고려하여 조절)
👩⚕️ 실제 임상 예시
💥 슬관절 수술 후 대퇴사두근 위축
- 수술 후 1~2주차부터 NMES 시작
- Vastus medialis에 집중 자극
- 침상 훈련 병행 (쿼드 셋, 무릎 신전운동)
- 4주 후 정적 근력 30~40% 회복 확인
💥 뇌졸중 환자 발목 처짐 (drop foot)
- 전경골근 NMES + 보행 훈련 병행
- 보행 중 경련방지 목적으로 사용
- 스탠딩 중 FES 형태로 응용 → 기능적 보행 개선
💥 척수손상 환자의 하지 근육 유지
- 자발적 움직임이 거의 없어도 NMES로 근위축 억제
- 조기 시작 시 피부전극 위치만 잘 설정해도 효과적
- 주 5회 이상, 6주간 적용 후 하지근육 유지력 향상
❗ NMES 적용 시 주의사항
- 피부 자극 발생 가능 → 패드 위치 번갈아 사용
- 심박조율기 삽입 환자 금기
- 골절, 관절염 급성기, 출혈성 질환 주의
- 감각 이상 부위에는 감각테스트 후 적용
📌 정리하면...
- NMES는 재활 초기에 특히 유효한 도구
- 근육 수축을 유도하여 기능적 회복 촉진 + 위축 방지
- 전극 위치, 파라미터 세팅, 병행 운동이 핵심
- 자발적 움직임과 연결할 때 효과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