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혈액이 끈적끈적해졌다는 건 무슨 뜻일까?
MANYFAST
2025. 5. 19. 15:19
혈액학적으로 진짜 변화일까? “요즘 몸이 무거워요. 혈액이 끈적끈적해진 느낌이에요.” 이런 말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많은 분들이 피로하거나, 혈액순환이 안 된다고 느낄 때 ‘혈액이 끈적하다’는 표현을 씁니다. 그런데 정말 혈액이 끈적해질 수 있을까요? 의학적으로는 이 현상을 어떻게 설명하고, 어떤 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지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1. ‘혈액이 끈적하다’는 말, 그냥 기분일까?
아닙니다. 이 말은 실제로 다음과 같은 생리적·혈액학적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는 표현입니다:
- 혈액의 점도(Viscosity)가 증가된 상태
- 혈액 성분 중 지방, 당, 염증물질, 응고인자가 증가해 흐름이 느려진 상태
- **혈전(피떡)**이 잘 생기기 쉬운 고위험 상태
즉, 단순한 기분이 아니라 혈류 역학적으로도 설명 가능한 상태입니다.
2. 끈적해진 혈액, 실제로는 어떤 변화일까?
🩸 (1) 혈액 점도 증가
혈액 점도는 말 그대로 혈액의 끈적임을 수치화한 것입니다. 다음의 경우 점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적혈구 비율(헤마토크릿) 증가
- 혈장 단백질(특히 피브리노겐) 증가
- 탈수 상태로 인해 수분은 줄고 농축된 상태
🍔 (2) 고지혈증
혈액 내 중성지방(TG), LDL 콜레스테롤이 증가하면 혈액이 탁해지고 흐름이 저해됩니다.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는 경우에도 이런 상태가 됩니다.
🍬 (3) 고혈당 상태
혈장 내 포도당 농도가 높으면 혈관 내벽 손상이 일어나고, 혈액 내 단백질과 당이 결합(Glycation)하여 점도 증가와 혈전 위험을 높입니다.
🧬 (4) 혈전 생성 경향
혈소판 응집성과 피브리노겐이 증가하고, D-dimer 수치가 높아지면 혈전 형성에 가까운 상태입니다.
3. 혈액이 끈적해졌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검사로 확인 가능한 지표들
혈액 점도 검사 | 실제 점도 측정 (전혈/혈장 점도) |
헤마토크릿(Hct) | 적혈구 비율, 높을수록 점도 ↑ |
피브리노겐 | 응고 단백질, 많을수록 끈적함 ↑ |
LDL, TG, 콜레스테롤 | 지방 수치, 고지혈증 지표 |
공복혈당, HbA1c | 고혈당 여부 확인 |
D-dimer, FDP | 혈전 생성 여부 |
CRP, ESR | 염증 반응 지표, 만성 염증이 점도에 영향 |
이러한 검사들은 종합적으로 **“혈액의 흐름 상태가 정상이냐”**를 평가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4. 끈적한 혈액과 관련된 대표 질환들
질환명특징
고점도혈증 | 다혈구증, 다발성 골수종 등에서 발생. 실제 혈액 점도 ↑ |
고지혈증 | 중성지방, LDL 증가로 혈류 방해 |
당뇨병 | 고혈당에 따른 혈관손상 및 혈전 생성 경향 증가 |
만성염증 질환 | 루푸스, 류마티스 등에서 염증 단백질 증가로 점도 상승 |
✅ 마무리 정리
- "혈액이 끈적끈적하다"는 말은 실제 의학적 상태로 연결됩니다.
- 이는 혈액의 점도 증가, 고지혈증, 고혈당, 만성염증, 혈전경향 증가와 관련 있습니다.
- 전문 혈액검사를 통해 정확히 확인하고, 필요시 식습관, 수분섭취, 운동, 약물치료 등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